이동 삭제 역사 ACL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(r1 문단 편집) [오류!]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== 개요 == 유대계 독일인으로 유명한[* 허나 아인슈타인 본인은 후술된 어록에 나온 말처럼 이런 구분에 연연해하지 않았다. 애초에 아인슈타인은 민족주의를 혐오한 탈민족주의 혹은 [[반민족주의]]자였다.] [[물리학자|이론 물리학자]]이며 지금도 '천재 과학자' 하면 일반적으로 흔히 회자되는 대표적인 인물이다. 문제는 의외로 '''무엇 때문에 유명한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'''. [[상대성 이론]]만 발표한 사람인 줄 알기도 한다! (아인슈타인의 [[노벨 물리학상]]은 [[광속|광속 불변의 법칙]] 해석 논문[* 이게 특수 상대성 이론이다.]이 아니라 [[광전 효과]] 해석 논문[* [[토마스 영]]이라는 천재 물리학자가 몇십년쯤 전에 [[빛]]은 파동임을 [[https://librewiki.net/wiki/영의_이중슬릿_실험|간명한 실험으로 증명]]했는데, 아인슈타인은 '''영의 그 실험에 대한 해석을 뒤집지 않은 채로''' 빛은 입자임을 증명한다. 논문의 길이도 난이도도 광속도 불변의 법칙 해석에 비해서는 쉽기에 진가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걍향이 있지만, 그 쉬운 논문은 '''몇십년 뒤 [[양자역학]]의 기초가 된다.''']에 주어졌다.) 너무 유명해서 그런지 온갖 루머가 난무하지만 신빙성이 있는 것은 드물다. 아인슈타인에 대한 책도 많지만 역시 믿을 만한 책은 얼마 안 된다.[* 아인슈타인의 업적에 대해 정확히 알고 싶으면 Abraham Pais가 쓴 Subtle is the Lord를 참고.]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,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배포되며,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. 또한,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.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3.138.125.4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 저장